-
목차
반응형1. 블로그에 이것저것 적고있어서 내 히스토리는 찾아보면 알것이다.
2. 아직도? 기초가 없어 투자를 곁눈질로 하면서 대충 배우고 있다는 자책을 반복
3. 이러면 안되겠다. 다시 초심으로 돌아가자라는 생각으로 기본적인 이해를 정리해보려고 한다.
4. 누구나 그럿듯 먹고사는 삶의 질을 높이고 노후를 위해 여러가지를 찾아보게 된다.
5. 나도 넘처나는 바닷물(정보)에 돗단배 하나 새워놓고 쉽게 부러지는 낚시대 수십개를 바다에 담그고 있었다.
6. 아..내가 조금이라도 이해하고 있는 걸 찾아보자...깨달음을 얻었다
7. 담당하고 있는 삼성중공업을 보며 (수주를 통해 매출을 발생시키는) 수주산업에 접근해 보자는 마음이 있을때
8. 마침 호황기를 들어서 턴어라운드를 목전에 두고 있는 조선산업에 대한 VIEW를 공유하는 블로그를 찾게되었고
9.유료 채널에 가입을 했다. 막 비싼건아니고 한달에 담배 10갑도 안되는 금액이다.
10. 난 비흡연자고 술도 회식때만 먹는다.
11. 이 채널은 분기마다 개설을 하는데 첫 몇일은 매번 똑같은걸 설명해준다.
13. 제일 중요한 기본이기 때문에 반복해서 이야기해주는 거다. 너무 관과했다.
14. 기업분석 즉 우리가 사는 세상을 이해하는 방법 이야기다.
15. 기업은 매출이 발생해야 한다.
16. 매출은 어떻게 발생하느냐 재화의 판매가격 (P)Price X 수량 (Q)Quantity 이다
17. 기업은 매출을 올리기 위해서는 판매가격을 높이거나 더 많은 수량을 판매해야한다
18. 가격을 높이기 위해서는 수요와 공급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사실 이해도 필요없다 그냥 상식이니까.
19. 수요보다 공급이 많으면 가격은 내려가고 그 반대의 경우는 가격이 올라간다.
20. 기업의 입장에서 바라보면 공급의 개념은 많은 수량(Q)을 생산해야하기 때문에 공장 증설이라는 행위를 하는데
21. 가격을 올리는 경우는 재료비의 상승과 인원충원외 다른 비용은 들어가지 않는다.
22. 그럼 가격을 올리면 기업의 매출에 바로 반영이 되겠지.
23. 많은 수량은 증설이라는 막대한 투자가 필요하고 기간도 2~3년이 걸릴테니
24. 기업입장에서는 가격을 올리는게 가장 좋은 방법인데 이 가격은 구매자들의 비용과 같기 때문에 올리기 쉽지 않다.
25. 그럼 구매자들이 높은 비용을 들여서라도 꼭 써야하는 물품을 만드는 독보적인 경쟁력을 가진 회사를 찾으면 된다.
26. 슈퍼카나, 에르메스 같은 초고고고 럭셔리 제품을 만들어내는 회사겠지.
27. 이 논리를 기본으로 깔고 우리가 주식시장을 바라보면서 투자를 하면 된다.
28. 결국 고민하고 생각하고 정리하고 찾아보고 검증하는 단계를 거치면서 언제가는 빛을 바라는 순간이 올거라 생각된다.
반응형